그림, 겉핥기로 읽다

우주의 카우보이ㅡ 제임스 터렐

J cash 2014. 2. 5. 00:17

 

 

빛의 사제 ㅡ 제임스 터렐, 1977년 아리조나의 Roden Crater를 구입하여

대지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1943년 LA Pasadena에서

항공공학자이며 교육자인 아버지와 의사인 어머니사이에 태어나

Pomona College에서는 知覺심리학을 전공하고 

수학, 지질학, 우주학등을 공부하였으며ㅡ

대학원에서 미술사와 미술이론을 공부하였다

그는 20대초 Pomona 대학 예술사시간에

어두운 강의실에서 슬라이드 투사기에서 나오는 빛을 보며,

빛이 사물을 보게하는 것만이 아니라, 빛자체를 사람이 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하게된것이

그의 평생동안의 거대하고 풍부한 '빛의 작업'으로 이끌었다고 한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항공술,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되고,

터렐도 16세에 비행조종사자격을 취득한다 

비행을 통해 공간 감각, 하늘의 빛, 햇빛, 기상조건등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ㅡ

과학적인 빛의 원리에 우주적인 것과 종교적인 명상을 더하여

그의 독특한 '빛의 예술'로서의 설치미술을 창조했다

 

개인의 정신적 수련과 명상을 중시하는 퀘이커 교도 집안에서 성장함으로서

관객으로 하여금 그가 표현하고자하는, 작품의 종교적 배경인 '숭고함'을 느끼게 하여,

인내와 명상, 고요한 응시를 통해

자기자신을 성찰할 수있게 해준다

 

터렐의 혁명적인 빛의 예술은

혼자 또는 제한된 인원의 관람객이,  갤러리 어느 곳에서든 

한 작품을 시각적, 육체적으로 체험하기 위해서는

최소 5분에서 20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숨쉬는 빛 breathing light, 2013 ㅡ 제임스 터렐 회고전 LACMA, LA

ㅡ2014년 4월 6일까지 전시 

The Light Inside

 

 

빛의 조각가 제임스 터렐은 빛을 다른 사물을 조명하기위한 소극적 장치가 아닌,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창조적 매체로 사용한다 

그는 예술이란 하나의 구체적인 오브제로 남겨지는 게 아닌 '知覺의 경험'이라 보기 때문에

그에게 작품의 영속성은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Ganzfelt series/Bridget's Bardo  2008

 

 

 

/LACMA 

 

 

 

 

황혼의 깨달음/Twilight Epiphany, Rice Univ. Pavillion, 2012 

 

 

 

 

 

Tending, ( Blue ) Dallas/ skyspace series


 

Large Holograms, 2009



Aten Reign 2013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달팽이 모양의 구겐하임뮤지움 건물을 터렐의 작업으로

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을 바꿔 놓는 빛과 색채의 유희속에서ㅡ

관객들은 숨을 죽이고

앉아서 혹은 누워서 감상하며

터렐이 창조한 새로운 빛의 세계로 빠져든다

 

 

 

태양신의 지배/Aten Reign,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2013

 

 

"Aten Reign은

단순해 보이는 외관과 다르게 극도로 복잡한 설계와 제작과정을 통해 탄생했다

터렐은 사물을 완전히 배제시키고 무형의 빛만을 이용해

시각 미술이 갖는 가시성, 공간감을 창출했으며

빛과 음영을 이용해 사물의 색, 선, 면, 부피감등의 착각을 유도하고

막힌 공간내에 빛을 유입시켜 작품과 공간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였다

형태가 없는 빛을 시각예술로 승화시킨 점에서

그는 진정한 의미의 미니멀리즘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로덴 분화구 프로젝트

 

"이곳은 당신이 지리학적 시간( geological time )을 느낄수 있도록 노출된,

오색 사막( the painted desert )에 있는  화산 분화구이다

당신은 행성의 표면에 서 있는 강력한 느낌을 받을 것 이다"ㅡ 제임스 터렐 

 

 

 
시작한지 35년째...“I ask for your patience, realize that no one has been more patient than I have.”
— James Turrell

 

 

 

터렐의 대표작은

아리조나 사막의 40만년된 화산분화구에 작업하고 있는 '로덴 분화구 프로젝트'이다

1979년 시작한 이 작업은 언제 완공될지 알 수 없으며 

'한 인간'이 시도한 역사상 가장 큰, 의욕적인 예술작업중 하나로 평가된다

터렐은 이 작업을 통해 '우주적 빛과 공간의 경험'을 관객들에게 주고자 한다고 하였다

 

빛을 화면에 옮기려한 인상파를 비롯해,

물감과 면의 분할로 캔버스 안에서 빛을 창조해내는 데 성공한  색면추상의 마크 로스코 처럼

미술에 있어서 빛이란 언제나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터렐 역시 인상파나 로스코같은 이전의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한 발짝 더 나아가 그는 물감과 캔버스를 벗어나

자연의 빛과 인공적인 빛 자체를 미술로 끌어오는 데 성공한 것이다. 

 

터렐은 아래와 같이 말한다

 

나의 작업은 知覺(Perception)에 관한 것이다

나는 빛을 소재로 사용하는데 이는 빛이 우리의 다양한 지각의 통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가 피부를 통해 비타민 D를 흡수하듯이ㅡ빛이 경이로운 특효약처럼 나에게 들어와

나의 작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기를 원한다

내 말은, 우리는 'light-eaters'ㅡ小食家가 아니라, 말 그대로  '빛을 먹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나는 빛을 흡수해서 우리의 현실세계를 보며 知覺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려 한다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살면서도,

우리가 보는 세상을 우리가 어떻게 認知하여 形想化하는지는..잘 모른다

그래서 나의 이 로덴 분화구 작업의 의미는ㅡ우리가 살고 있는 이 빛의 세계가,

특히 시각적인 분야에서,

어떻게 지각되어 머리 속에서 만들어지는지를 다루려는,

어쩌면 답이 없는 수수께끼를 푸는 것과 같은 것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나는 '직접' 이곳을 체험하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이곳에서 광대한 대지와 하늘에 의해 자신의 왜소함을 느끼게 될 여러분을 상상해 본다"

 

지각 심리학을 전공한 터렐의 메타포적인 표현을 拙繹을 하다보니

뜻이 애매하게 전달될 것 같아 원본을 첨부한다

ㅡ정확히 무슨 말인지 터렐에게 직접 쉽게 설명해달라고 하고 싶다  하하

 

It’s about perception.

For me, it’s using light as a material to influence or affect the medium of perception.

I feel that I want to use light as this wonderful and magic elixir that we drink

as Vitamin D through the skin—

and I mean, we are literally light-eaters—to then affect the way that we see.

We live within this reality we create, and we’re quite unaware of how we create the reality.

So the work is often a general koan into how we go about forming this world in which we live,

in particular with seeing."
I would love to experience this site in person.

I imagine one would feel dwarfed by the immensity of both earth and sky. 

 

 

Cosmic Cowboy

 

 

 

 

 

 

 

 

 

 

터렐의 아내는 미술을 전공한 이경림씨(1957~)이다

.....

...

.

 

Gagosian Gallery, London 2010

 

 

 

 

 





Sources


  1.  http://jamesturrell.com/

2. James Turrell-Geometry of Art  ㅣ  HATJE CANTZ

3. James Turrell  ㅣ  GUGGENHEIM

5.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Turrell 

6. http://www.theartstory.org/artist-turrell-jame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