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rge Inness
미국의 풍경화는
ㅡ허드슨강파의 사실주의적 풍경화,
ㅡ'차일드 하삼'등의 인상파적 풍경화,
ㅡ조지아 오키프의 추상적 풍경화
이상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허드슨강파( 시기 1825~1880 )는
영국 태생의 토마스 콜이 이끈 화가들의 자유로운 모임으로 시작됬는데
그들은 미국이라는 거대한 나라의 아름다운 자연을
웅장하게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자연에 대한 경외심, 미국의 애국심까지도 불러 일으키면서
그들의 풍경화에 영적인 의미까지 담아내려한 화가들이다
이러한 허드슨강파 화가의 한 사람이며
'미국 풍경화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조지 이네스( George Inness 1825 ~1894 )도 자연에 대한 접근을 통해
풍경화에 영적인 의미를 담아내어
그림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롭게 自然과 자신의 관계, 神과 자신의 관계를
생각하도록 이끈다
그는 1830년대에 프랑스 퐁텐블로숲에서
최초로 야외에서 풍경을 그리기 시작한 바르비종파의 영향을 받았으나
단순히 계절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빛의 효과를 표현하고자한
프랑스와 미국 인상주의자들의 그림은,
자연에 진실되지 않고, 자신의 작품에서 본질적이라고 생각하는
영적측면이 결여되 있다고 느껴서 비판적이었다
바르비종파의 영향을 받은 미국의 화가들은
바르비종톤을 '토날리즘'이라 불리는 단색조의 분위기있는 풍경화로 바꾸었고,
조지 이네스도 말년에는 이러한 토날리즘에 자연의 영적의미를 부여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으로 변화시킨다
나는 이네스의 그림이
바르비종파의 선도자 코로와 詩的인 면에서는 비슷하지만ㅡ
"靈魂 또는 內的인 것이, 自然과 外的인 것 보다 진실하고 先行하는 것이며
정신이 육체에 따르는 것이 아니고, 건축물이 설계도면에 의해 만들어 지듯이
육체는 정신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 진 것"이라는
17세기 Swedenborg의 神學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이네스의 그림에서,
코로의 그림에 영적인 것을 더한 것 같은 강렬한 느낌을 받는다
이네스의 死後 100년이 지난 현재,
그는 感性 풍경화( emotional landscape )의 천재로 평가 되며,
그의 풍경화는 자연의 신비스러운 영적 분위기와 함께
아ㅡ하고 감탄사가 나올 정도로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그림다운 그림이다.
이네스는
미술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정된 물체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고,
生의 형태를 나타내야 하는데
그것은 겉모습이 아니고 내적 life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면서
신이 내부로 불어 넣은 힘( Divine Influx )이 자연의 生의 형태뿐만 아니라
예술가의 영감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미술은 단순히 물질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불어 넣어 준 그러한 힘을 두려워하거나 주저하지 않고 표현하여 알려야 한다고 말한다
그의 후기의 단색톤으로 물질성을 없애는 듯한 그림들은
20세기의 색면 추상표현주의의 전초를 보여주는 개념예술의 시작이라는
평가도 있다....
Indian Summer 1894
October 1886
The Rainbow, ca 1878/9
Twilight 1860
June 1882
The Monk 1873
이탈리아 소나무가 보이는 이 그림은 로마 근처의 교황의 여름 휴양처를 그렸다
뒷 배경 하늘의 느슨한 수평적 구도와
소나무의 수직적구도가 대비되며 매우 아름답다
Sunrise 1887
이네스의 풍경화에서 사람의 모습은 대부분 작고 불분명하게 그려져있다
The Trout Brook 1891
Harvest Moon 1891
The Home of the Heron 1893
......
...
.
' My God oh, how beautiful !’
' My God oh, how beautiful !’
' My God oh, how beautiful !’
'그림, 겉핥기로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라의 죽음 ㅡ 뭉크 (0) | 2014.05.07 |
---|---|
메두사호의 뗏목 ㅡ 제리코 (0) | 2014.05.03 |
해리 리버만과 나의 친구 김무현 화백 (0) | 2014.03.26 |
火山같은 여자 ㅡ최욱경 (0) | 2014.02.09 |
우주의 카우보이ㅡ 제임스 터렐 (0) | 2014.02.05 |